cjs

  1. 국어<직접 교수법>
    • 설명하기
    • 시범보이기
    • 질문하기
    • 활동하기
  2. 국어<문제해결학습모형>
    • 문제 확인하기
    • 문제 해결 방법 찾기
    • 문제해결하기
    • 일반화하기
  3. 국어<창의성 계발 학습 모형>
    • 문제 발견하기
    • →아이디어 생성하기
    • →아이디어 선택하기
    • →아이디어 적용하기
  4. 국어<지식 탐구 학습 모형>
    • 문제 확인하기
    • →자료 탐색하기
    • →지식 발견하기
    • →지식 적용하기
  5. 국어<반응 중심 학습 모형>
    • 반응 준비
    • →반응 형성
    • →반응 명료화
    • →반응 심화
  6. 국어<역할 수행 학습 모형>
    • 상황 설정하기
    • →준비 및 연습하기
    • →실연하기
    • →평가하기
  7. 국어<가치 탐구 학습 모형>
    • 문제 문석하기
    • →가치 확인하기
    • →가치 평가
    • →가치 일반화
  8. 국어<전문가 협동 학습 모형>
    • 계획하기(모집단)
    • →탐구하기(전문가집단)
    • →서로가르치기(모집단)
    • →발표 및 정리하기
  9. 국어<토의 토론 학습 모형>
    • 주제 확인→
    • 토의 토론 준비→
    • 토의 토론하기→
    • 정리 및 평가
  10. 사회<문제 해결 학습 모형>
    • 문제 사태 파악
    • →문제 확인
    • →정보 수집
    • →대안 제시
    • →적용 및 정리
  11. 사회<탐구 학습 모형>
    • 문제파악
    • →가설 설정
    • →탐색
    • →입증
    • →일반화
  12. 사회<의사 결정 학습 모형>
    • 의사 결정 상황 확인
    • →대안 작성
    • →평가 기중 작성
    • →대안 평가
    • →최종 결정
  13. 사회<개념 학습 모형-속성 모형>
    • 문제제기
    • →속성 제시와 정의
    • →결정적 속성과 일반적 속성 검토
    • →사례와 비 사례 검토
    • →가설 검증
    • →개념 분석
    • →관련 문제 검토
    • →평가
  14. 사회<개념 학습 모형-원형 모형>
    • 문제제기
    • →원형 또는 사례 제시
    • →비 사례 제시
    • →개념 분석
    • →관련 문제 검토
    • →평가
  15. 사회<개념 학습 모형-상황 모형>
    • 문제제기
    • →상황 및 경험의 진술
    • →사례와 비 사례 검토
    • →속성 검토
    • →개념 분석
    • →문제 분석
    • →평가
  16. 사회<가치 명료화 학습 모형>
    • 문제파악
    • →선택(C)
    • →존중(P)
    • →행위(A)
  17. 사회<가치 분석 학습 모형>
    • 가치문제의 확인 및 명료화
    • →가치 판단과 관련된 사실의 수집
    • →사실 주장의 평가
    • →사실에 대한 관련서의 명료화
    • →잠정적 가치 판단
    • →원리의 수용성 검사 및 최종적 판단
  18. 사회<논쟁 문제 수업 모형-하버드모형>
    • 문제 제기
    • →가치문제 확인
    • →정의와 개념의 명확화
    • →사실확인과 경험의 증명
    • →가치갈등의 해결
    • →비교분석
    • →대안모색과 결과의 예측
    • →선택 및 결론
  19. 사회<범례 학습 모형>
    • 기본학습
    • →비교학습
    • →적용학습
  20. 도덕<역할 놀이 수업 모형>
    • 역할놀이 준비
    • →역할놀이 참가자 선정
    • →무대 설치
    • →참여적 관찰자로서의 청중의 준비
    • →역할놀이 시연
    • →토론 및 평가
    • →재연
    • →경험의 공유와 일반화
  21. 도덕<개념 분석 수업 모형>
    • 분석될 가치 개념의 확인
    • →개념의 전형적인 사례 및 반대되는 사례 탐구
    • →개념의 경계에 해당되는 사례 확인
    • →그 개념과 관련된 개념의 분석
    • →가상적인 사례에의 적용
    • →분석된 의미의 수용 여부 검토와 정리
  22. 도덕<가치 분석 수업 모형>
    • 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
    • →가치문제의 확인과 명료화
    • →자기 입장의 설정 및 사실적 타당성 탐색
    • →잠정적 가치 결정 및 가치 원리의 검사
    • →입장의 수정 및 의사 결정
    • →실천 동기 강화 및 일상생활에의 확대 적용
  23. 도덕<가치 갈등 해결 수업 모형>
    • 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
    • →관련 규범 확인 및 의미 파악
    • →문제 사태의 성격 분석
    • →자기 입장의 선택과 정당화
    • →자기 입장의 수정 및 대안 숙고
  24. 도덕<가치 명료화 수업 모형>간단
    • 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
    • →선택(C)
    • →존중(P)
    • →행동(A)
  25. 도덕<가치 명료화 수업 모형>
    • 자유롭게 선택
    • →여러 대안들로부터 선택
    • →각 대안들의 결과를 고려한 후 선택
    • →선택한 것을 소중히 여기고 기뻐하기
    • →선택한 것 기꺼이 자신감 있게 확언하기
    • →선택한 바를 행동으로 옮기기
    • →반복 행동에 따라 자신의 생활양식으로 굳히기
  26. 도덕<합리적 의사 결정 수업 모형>
    • 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와 분석
    • →관련 규범의 확인 및 그 의미와 타당성 파악
    • →여러 대안의 설정과 각 대안의 결과 검토
    • →자기 입장의 설정 및 정당화
    • →자기 입장의 수정 및 잠정적 의사 결정
  27. 도덕<집단 탐구 수업 모형>
    • 탐구 문제의 설정
    • →탐구 계획의 수립
    • →탐구의 실시
    • →탐구 결과 발표 및 논의
    • →종합 정리 및 평가
  28. 도덕<도덕적 토론 수업 모형>
    • 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
    • →도덕적 토론의 도입
    • →도덕적 토론의 심화
    • →실천 동기 강화 및 생활에의 확대 적용
  29. 도덕<도덕 이야기 수업모형>
    • 학습 문제 인식과 동기 유발
    • →도덕 이야기의 제시와 주요 내용 파악
    • →도덕 이야기의 탐구 및 자신의 도덕적 경험 발표와 공유
    • →자신의 도덕 이야기 또는 유사한 상상의 이야기 구성
    • →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 생활화
  30. 도덕<모범 감화 수업 모형>
    • 학습 문제 인식과 동기 유발
    • →도덕적 모범의 제시와 주요 내용의 파악
    • →도덕적 모범의 탐구 및 감동 감화
    • →도덕적 정서와 의지의 강화
    • →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 생활화
  31. 도덕<실습 실연 수업 모형>
    • 학습 문제 인식과 동기유발
    • →도덕적 모범 행동의 제시 및 이해
    • →모범행동의 실습 실연
    • →도덕적 정서 및 의지의 강화
    • →종합 정리와 확대 적용 및 실천 생활화
  32. 도덕<실천 체험 수업 모형>
    • 실천 체험 학습의 주체 설정
    • →실천 체험 학습의 계획 수립
    • →실천 체험 학습의 실행
    • →실천 체험 결과의 발표와 논의 및 공유
    • →종합 정리와 평가 및 실천 생활화
  33. 수학<개념학습모형-개념형성모형>
    • 도입
    • 범례 제시 및 범례 분류하기
    • 공통의 성질 추상화하기
    • 개념 정의하기
    • 개념의 속성 조사하기
    • (결정적 속성, 비결정적 속성)
    • 개념 익히기
    • 정리 및 평가
  34. 수학<개념학습모형-속성모형>
    • 도입
    • 개념의 정의
    • 정례와 비례의 구분
    • 개념의 속성 조사
    • 개념 익히기
    • 정리 및 평가
  35. 수학<원리 탐구 수업 모형>
    • 도입
    • 새로운 문제 상황 제시
    • 수학적 원리의 필요성 인식
    • 수학적 원리가 내재된 조작 활동
    • 수학적 원리의 형식화
    • 익히기 및 적용하기
    • 정리 및 평가
  36. 수학<귀납 추론 수업 모형>
    • 도입
    • 관찰 및 실험
    • 추측하기
    • 추측의 검증
    • 발전
    • 정리 및 평가
  37. 수학<문제 해결 수업 모형> (by polya)
    • 도입
    • 문제의 이해
    • 해결 계획 세우기
    • 해결 계획의 실행
    • 반성
    • 정리 및 평가
  38. 수학<문제 해결 수업 모형> (소집단)
    • 이해
    • 해결 계획
    • 계획 실행
    • 반성
    • 소집단별 문제해결
    • 발표 및 정리
  39. 과학<경험 학습 수업 모형>
    • 자유 탐색
    • 탐색 결과 발표
    • 교사 인도에 따른 탐색
    • 정리
  40. 과학<발견 학습 수업 모형>
    • 탐색 및 문제 파악
    • 자료 제시 및 관찰 탐색
    • 자료 추가 제시 및 관찰 탐색
    • 규칙성 발견 및 개념 정리
    • 적용 및 응용
  41. 과학<탐구 학습 수업 모형>
    • 탐색 및 문제 파악
    • 가설 설정
    • 실험 설계
    • 실험
    • 가설 검증
    • 적용
  42. 과학<순환학습 수업 모형>
    • 탐색 용어
    • 용어 도입
    • 개념 적용
  43. 과학
    • 예상
    • 관찰
    • 설명
  44. 과학

    • 예상
    • (설명)
    • 관찰
    • 설명
  45. 과학<4E>
    • 탐색
    • 설명
    • 확장
    • 평가
  46. 과학<5E>
    • (참여)
    • 탐색
    • 설명
    • (정교화)
    • 평가
  47. 과학<7E>
    • (사전개념활성화)
    • (참여)
    • 탐색
    • 설명
    • (정교화)
    • 평가
    • 확장
  48. 과학<개념 변화 수업 모형>
    • 생각의 표현
    • 명료화와 교환
    • 상충된 상황에 노출
    • 새로운 생각의 구성
    • 새로운 생각의 평가
    • 생각의 응용
    • 생각의 변화 검토
  49. 과학
    • 문제로의 초대
    • 탐색
    • 설명 및 해결 방안의 제시
    • 실행 실천
  50. 과학<발생 학습 수업 모형>
    • 예비
    • 초점
    • 도전
    • 적용
  51. <창의적 문제 해결 수업모형>
    • [문제발견]
    • 관심영역발견
    • 자료발견
    • 문제발견
    • [아이디어생성]
    • 아이디어발견
    • [실행계획]
    • 해결 방안 발견
    • 수용 방안 발견
  52. <실과 구안법> (by 킬 패트릭)
    • 목적
    • 계획
    • 실행
    • 평가
  53. <실과 문제해결 학습>
    • 문제 확인
    • 정보수집
    • 계획
    • 문제해결평가
  54. <미술-펠드만 비평 단계>
    • 서술
    • 분석
    • 해석
    • 평가
  55. <체육-이해 중심 수업 게임 모형>
    • 게임제시
    • 게임실행
    • 게임변용
    • 게임 재실행 및 반성
Author
ckawktjs
ID
148538
Card Set
cjs
Description
models
Updated