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ome
Flashcards
Preview
cjs
Home
Get App
Take Quiz
Create
국어<직접 교수법>
설명하기
시범보이기
질문하기
활동하기
국어<문제해결학습모형>
문제 확인하기
문제 해결 방법 찾기
문제해결하기
일반화하기
국어<창의성 계발 학습 모형>
문제 발견하기
→아이디어 생성하기
→아이디어 선택하기
→아이디어 적용하기
국어<지식 탐구 학습 모형>
문제 확인하기
→자료 탐색하기
→지식 발견하기
→지식 적용하기
국어<반응 중심 학습 모형>
반응 준비
→반응 형성
→반응 명료화
→반응 심화
국어<역할 수행 학습 모형>
상황 설정하기
→준비 및 연습하기
→실연하기
→평가하기
국어<가치 탐구 학습 모형>
문제 문석하기
→가치 확인하기
→가치 평가
→가치 일반화
국어<전문가 협동 학습 모형>
계획하기(모집단)
→탐구하기(전문가집단)
→서로가르치기(모집단)
→발표 및 정리하기
국어<토의 토론 학습 모형>
주제 확인→
토의 토론 준비→
토의 토론하기→
정리 및 평가
사회<문제 해결 학습 모형>
문제 사태 파악
→문제 확인
→정보 수집
→대안 제시
→적용 및 정리
사회<탐구 학습 모형>
문제파악
→가설 설정
→탐색
→입증
→일반화
사회<의사 결정 학습 모형>
의사 결정 상황 확인
→대안 작성
→평가 기중 작성
→대안 평가
→최종 결정
사회<개념 학습 모형-속성 모형>
문제제기
→속성 제시와 정의
→결정적 속성과 일반적 속성 검토
→사례와 비 사례 검토
→가설 검증
→개념 분석
→관련 문제 검토
→평가
사회<개념 학습 모형-원형 모형>
문제제기
→원형 또는 사례 제시
→비 사례 제시
→개념 분석
→관련 문제 검토
→평가
사회<개념 학습 모형-상황 모형>
문제제기
→상황 및 경험의 진술
→사례와 비 사례 검토
→속성 검토
→개념 분석
→문제 분석
→평가
사회<가치 명료화 학습 모형>
문제파악
→선택(C)
→존중(P)
→행위(A)
사회<가치 분석 학습 모형>
가치문제의 확인 및 명료화
→가치 판단과 관련된 사실의 수집
→사실 주장의 평가
→사실에 대한 관련서의 명료화
→잠정적 가치 판단
→원리의 수용성 검사 및 최종적 판단
사회<논쟁 문제 수업 모형-하버드모형>
문제 제기
→가치문제 확인
→정의와 개념의 명확화
→사실확인과 경험의 증명
→가치갈등의 해결
→비교분석
→대안모색과 결과의 예측
→선택 및 결론
사회<범례 학습 모형>
기본학습
→비교학습
→적용학습
도덕<역할 놀이 수업 모형>
역할놀이 준비
→역할놀이 참가자 선정
→무대 설치
→참여적 관찰자로서의 청중의 준비
→역할놀이 시연
→토론 및 평가
→재연
→경험의 공유와 일반화
도덕<개념 분석 수업 모형>
분석될 가치 개념의 확인
→개념의 전형적인 사례 및 반대되는 사례 탐구
→개념의 경계에 해당되는 사례 확인
→그 개념과 관련된 개념의 분석
→가상적인 사례에의 적용
→분석된 의미의 수용 여부 검토와 정리
도덕<가치 분석 수업 모형>
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
→가치문제의 확인과 명료화
→자기 입장의 설정 및 사실적 타당성 탐색
→잠정적 가치 결정 및 가치 원리의 검사
→입장의 수정 및 의사 결정
→실천 동기 강화 및 일상생활에의 확대 적용
도덕<가치 갈등 해결 수업 모형>
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
→관련 규범 확인 및 의미 파악
→문제 사태의 성격 분석
→자기 입장의 선택과 정당화
→자기 입장의 수정 및 대안 숙고
도덕<가치 명료화 수업 모형>간단
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
→선택(C)
→존중(P)
→행동(A)
도덕<가치 명료화 수업 모형>
자유롭게 선택
→여러 대안들로부터 선택
→각 대안들의 결과를 고려한 후 선택
→선택한 것을 소중히 여기고 기뻐하기
→선택한 것 기꺼이 자신감 있게 확언하기
→선택한 바를 행동으로 옮기기
→반복 행동에 따라 자신의 생활양식으로 굳히기
도덕<합리적 의사 결정 수업 모형>
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와 분석
→관련 규범의 확인 및 그 의미와 타당성 파악
→여러 대안의 설정과 각 대안의 결과 검토
→자기 입장의 설정 및 정당화
→자기 입장의 수정 및 잠정적 의사 결정
도덕<집단 탐구 수업 모형>
탐구 문제의 설정
→탐구 계획의 수립
→탐구의 실시
→탐구 결과 발표 및 논의
→종합 정리 및 평가
도덕<도덕적 토론 수업 모형>
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
→도덕적 토론의 도입
→도덕적 토론의 심화
→실천 동기 강화 및 생활에의 확대 적용
도덕<도덕 이야기 수업모형>
학습 문제 인식과 동기 유발
→도덕 이야기의 제시와 주요 내용 파악
→도덕 이야기의 탐구 및 자신의 도덕적 경험 발표와 공유
→자신의 도덕 이야기 또는 유사한 상상의 이야기 구성
→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 생활화
도덕<모범 감화 수업 모형>
학습 문제 인식과 동기 유발
→도덕적 모범의 제시와 주요 내용의 파악
→도덕적 모범의 탐구 및 감동 감화
→도덕적 정서와 의지의 강화
→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 생활화
도덕<실습 실연 수업 모형>
학습 문제 인식과 동기유발
→도덕적 모범 행동의 제시 및 이해
→모범행동의 실습 실연
→도덕적 정서 및 의지의 강화
→종합 정리와 확대 적용 및 실천 생활화
도덕<실천 체험 수업 모형>
실천 체험 학습의 주체 설정
→실천 체험 학습의 계획 수립
→실천 체험 학습의 실행
→실천 체험 결과의 발표와 논의 및 공유
→종합 정리와 평가 및 실천 생활화
수학<개념학습모형-개념형성모형>
도입
범례 제시 및 범례 분류하기
공통의 성질 추상화하기
개념 정의하기
개념의 속성 조사하기
(결정적 속성, 비결정적 속성)
개념 익히기
정리 및 평가
수학<개념학습모형-속성모형>
도입
개념의 정의
정례와 비례의 구분
개념의 속성 조사
개념 익히기
정리 및 평가
수학<원리 탐구 수업 모형>
도입
새로운 문제 상황 제시
수학적 원리의 필요성 인식
수학적 원리가 내재된 조작 활동
수학적 원리의 형식화
익히기 및 적용하기
정리 및 평가
수학<귀납 추론 수업 모형>
도입
관찰 및 실험
추측하기
추측의 검증
발전
정리 및 평가
수학<문제 해결 수업 모형> (by polya)
도입
문제의 이해
해결 계획 세우기
해결 계획의 실행
반성
정리 및 평가
수학<문제 해결 수업 모형> (소집단)
이해
해결 계획
계획 실행
반성
소집단별 문제해결
발표 및 정리
과학<경험 학습 수업 모형>
자유 탐색
탐색 결과 발표
교사 인도에 따른 탐색
정리
과학<발견 학습 수업 모형>
탐색 및 문제 파악
자료 제시 및 관찰 탐색
자료 추가 제시 및 관찰 탐색
규칙성 발견 및 개념 정리
적용 및 응용
과학<탐구 학습 수업 모형>
탐색 및 문제 파악
가설 설정
실험 설계
실험
가설 검증
적용
과학<순환학습 수업 모형>
탐색 용어
용어 도입
개념 적용
과학
예상
관찰
설명
과학
예상
(설명)
관찰
설명
과학<4E>
탐색
설명
확장
평가
과학<5E>
(참여)
탐색
설명
(정교화)
평가
과학<7E>
(사전개념활성화)
(참여)
탐색
설명
(정교화)
평가
확장
과학<개념 변화 수업 모형>
생각의 표현
명료화와 교환
상충된 상황에 노출
새로운 생각의 구성
새로운 생각의 평가
생각의 응용
생각의 변화 검토
과학
문제로의 초대
탐색
설명 및 해결 방안의 제시
실행 실천
과학<발생 학습 수업 모형>
예비
초점
도전
적용
<창의적 문제 해결 수업모형>
[문제발견]
관심영역발견
자료발견
문제발견
[아이디어생성]
아이디어발견
[실행계획]
해결 방안 발견
수용 방안 발견
<실과 구안법> (by 킬 패트릭)
목적
계획
실행
평가
<실과 문제해결 학습>
문제 확인
정보수집
계획
문제해결평가
<미술-펠드만 비평 단계>
서술
분석
해석
평가
<체육-이해 중심 수업 게임 모형>
게임제시
게임실행
게임변용
게임 재실행 및 반성
Author
ckawktjs
ID
148538
Card Set
cjs
Description
models
Updated
4/19/2012, 10:23:41 AM
Show Answers
Home
Flashcards
Preview